1. onClick 사용법
리액트에서 click를 위한 이벤트 핸들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해당 코드에서 onClick를 선언해주고 { } 중괄호를 열어줍니.
<div onclick={실행할함수}>
중괄호를 열어주는 이유는 JSX 문법이기 때문입니다.
onClick={} 안에는 어디서 만든 함수명을 적거나 아니면 함수 하나를 바로 만들어서 집어넣어주시면 됩니다.
<div onClick={ function(){ 실행할코드 } }>
또는
<div onClick={ () => { 실행할코드 } }>
2. State 변경하는 방법
let [ count, setCount ] = useState(0);
state만들 때 2개까지 작명할 수 있댔는데, 두번째 작명한건 state 변경을 도와주는 함수입니다.
그거 써야 state 변경이 가능합니다.
사용법은
setCount(새로운 State)
이렇게 쓰면 됩니다.
왜냐면 state 변경함수는 ( ) 안에 넣은걸로 state를 갈아치워주는 함수라 그렇습니다.
setCount(1) 이라고 사용하면 count 이라는 state가 1로 변경됩니다.
setCount (100) 이라고 사용하면 count 이라는 state가 100으로 변경됩니다.
3. array, object state 변경하는 법
State가 array, object 자료일 경우
function App(){
let [title, setTitle] = useState( ['남자코트 추천', '강남 우동맛집', '파이썬 독학'] );
return (
<button onClick={ ()=>{ ??? } }> 수정버튼 </button>
)
}
??? 부분을 어떻게 채워야 하냐면
function App(){
let [title, setTitle] = useState( ['남자코트 추천', '강남 우동맛집', '파이썬 독학'] );
return (
<button onClick={ ()=>{
let copy = [...title];
copy[0] = '여자코트 추천';
setTitle(copy)
} }> 수정버튼 </button>
)
}
위의 코드와 같이
array, object 자료 다룰 때는 원본 데이터를 직접 조작하는 것 보다는 기존값은 보존해주는 식으로 코드짜는게 좋은관습입니다.
let copy = [...title]; 코드에 '... '은 spread operator 라고하는 문법인데 array나 object 자료형 왼쪽에 붙일 수 있으며 뜻은 별거없고 괄호를 벗겨주세요~ 라는 뜻입니다.
...[1,2,3] 이렇게 쓰면
그 자리에 1,2,3 이 남습니다. 걍 괄호 벗기기용 연산자입니다.
근데 두번째 용도도 있는데 array나 object 자료형을 복사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.
출처 : 코딩애플 "React 리액트 기초부터 쇼핑몰 프로젝트까지!"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액트 React : 리액트 환경에서 동적인 UI 만드는 법 (0) | 2024.03.25 |
---|---|
리액트 React : Component와 props (1) | 2024.03.23 |
리액트 React 중요한 데이터는 변수말고 state에 담기 (0) | 2024.03.22 |
리액트 React에서 레이아웃 만들 때 쓰는 JSX 문법 (0) | 2024.03.22 |
리액트 React 설치와 개발환경 셋팅 (0) | 2024.03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