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

· React
Module 이란? React를 개발하다보면 파일이 커지면서 여러 개의 파일로 나뉘게 되는데, 이 때 분리된 파일들의 이름을 모듈(module)이라고 한다. 모듈내에는 함수, 변수 등이 있습니다. 또, 다른 모듈안에 있는값을 불러오거나, 모듈 내에 있는 값들을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데, 이때 사용하는 것이 import(불러오기), export(내보내기) 라고 합니다. import / export? 변수나 함수, 자료형을 다른 파일로 저장해둔 뒤에 불러오는 방법입니다. 1. data.js(원하는 데이터파일)을 export하고 2. App.js(불러와서 적용할파일)에 import를 하면 됩니다. 예를 들어 , data.js라는 파일이 있는데 거기 있던 변수를 App.js 에서 가져와서 쓰고 싶으면 (data..
· React
리액트에서 동적인 UI 만드는 step 1. html css로 미리 UI 디자인을 다 해놓고 2. UI의 현재 상태를 state로 저장해두고 3. state에 따라서 UI가 어떻게 보일지 조건문 등으로 작성 step 1. html css로 미리 디자인해놓기 function App (){ return ( (생략) ) } function Modal(){ return ( 제목 날짜 상세내용 ) } .modal{ margin-top : 20px; padding : 20px; background : #eee; text-align : left; } step 2. UI의 현재 상태를 state로 저장 state 하나 만들고 거기에 현재 UI의 상태정보를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, 0과 1, true/false 등을 활용..
· React
오늘은 Component 문법을 알아봅시다. Component 문법은 복잡한 html을 한 단어로 치환할 수 있는 문법입니다. 함수형 컴포넌트 생성하기 함수형 컴포넌트 function Modal(){ return ( 제목 날짜 상세내용 ) } ▲ 이렇게 하시면 원하는 HTML을 한 단어로 줄일 수 있습니다. 줄이는 법은 1. function을 이용해서 함수를 하나 만들어주고 작명합니다. 2. 그 함수 안에 return () 안에 축약을 원하는 HTML을 담으면 됩니다. 3. 그럼 원하는 곳에서 사용하면 아까 축약한 HTML이 등장합니다. Component 만들 때 주의점 1. component 작명할 땐 영어대문자로 보통 작명합니다. 2. return () 안엔 html 태그들이 평행하게 여러개 들어갈 ..
· React
1. onClick 사용법 리액트에서 click를 위한 이벤트 핸들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해당 코드에서 onClick를 선언해주고 { } 중괄호를 열어줍니. 중괄호를 열어주는 이유는 JSX 문법이기 때문입니다. onClick={} 안에는 어디서 만든 함수명을 적거나 아니면 함수 하나를 바로 만들어서 집어넣어주시면 됩니다. 또는 { 실행할코드 } }> 2. State 변경하는 방법 let [ count, setCount ] = useState(0); state만들 때 2개까지 작명할 수 있댔는데, 두번째 작명한건 state 변경을 도와주는 함수입니다. 그거 써야 state 변경이 가능합니다. 사용법은 setCount(새로운 State) 이렇게 쓰면 됩니다. 왜냐면 state 변경함수는 ( ) 안에 넣은걸로..
· React
1. state 란? - state는 컴포넌트의 내부에서 변경 가능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이다. - 일반적으로 리액트에서는 유동적인 데이터는 변수에 담아서 사용하지 않고 useState()라는 리액트 함수를 사용하여 state라는 저장 공간에 담아 사용한다. 2. state 사용 방법 1. 파일 위쪽에 useState를 임포트 해준다. import { useState } from 'react'; 2. useState()를 선언한다. const [state, setState] = useState('보관할 자료'); 여기서 state는 '현재 상태값', setState는 'state를 업데이트하는 함수'를 의미한다. 보통 업데이트하는 함수는 앞에 set을 붙여 카멜케이스로 쓴다. 예를 들면 c..
· React
1. JSX 란? "JSX(Javascript Syntax eXtension)는 Javascript를 확장한 문법" 2. JSX 문법 1. 반드시 부모 요소 하나가 감싸는 형태여야 한다 Virtual DOM에서 컴포넌트 변화를 감지할 때 때 효율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컴포넌트 내부는 하나의 DOM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규칙이 있기 때문입니다. ex) 정상작인 코드 1. // div를 사용 하였기 때문에 스타일 적용시 작성한 코드를 div로 // 한번 더 감쌌다는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. function App() { return ( Hello GodDaeHee! ); } ex) 정상 코드 2. () function App() { return ( Hello GodDaeHee! ); } 2. 자바스..
· React
개발환경 셋팅 1. 구글에 Nodejs 검색해서 LTS라고 써있는 버전을 설치합시다. https://nodejs.org/en/download Node.js — Download Node.js® Node.js®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's V8 JavaScript engine. nodejs.org 더 자세한 사항은 해당 블로그를 참조!! https://devyihyun.tistory.com/166 [Node.js] Node.js 설치하기 / 노드js 설치하기 [Node.js 설치하기] ※ 본 포스팅은 윈도우 11의 환경에서 진행되었습니다. Node.js 공식 홈페이지 접속 Node.js Node.js®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..
· React
우선 React를 들어가기에 앞서 React 왜 사용하는가? 를 알아보고자한다. 리액트의 정확한 용도를 알아야 리액트라는 라이브러리를 이해할 수 있는데, Naver Vibe, Flipkart, Instagram 이런 웹사이트 들어가면 페이지 전환 같은게 새로고침 없이 부드럽게 동작한다. https://vibe.naver.com/today https://www.instagram.com/ NAVER VIBE (바이브) #나만을 위한 음악이 듣고 싶을 땐 #내돈내듣 VIBE vibe.naver.com Instagram www.instagram.com 이런 사이트들을 Single Page Application 이라고 하는데 html 파일을 1개만 쓰고 다른 페이지를 보여주고 싶을 때 html 부분만 갈아치워서 ..
프론이
'React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2 Page)